여성이 임신 후 산부인과를 방문하였을 때 가장 먼저 권유받는 영양제는 엽산입니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엽산은 임신 초기 아기의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해 주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엽산의 복용량과 섭취하는 방법은 어떻게 되는지 아래에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엽산이란?
엽산은 비타민 B9로 우리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이며 핵산(DNA)의 합성을 위해 필요한 메티오닌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성분입니다. 엽산은 수용성 비타민으로 과량 복용해도 체내에 축적되지 않고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함유된 식품
엽산은 초록색 야채인 쑥갓, 시금치 등에 많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오렌지 주스, 키위, 생선에도 들어있습니다. 특히 최초 엽산은 시금치에서 추출하였습니다. 하지만 임산부의 약 20~30% 정도가 음식물로 엽산을 충분히 보충하지 못합니다. 이렇게 되면 엽산 결핍이 일어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태아에 신경관 결손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종류와 흡수량
엽산은 천연엽산과 합성엽산, 활성엽산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됩니다. 천연엽산은 folate라고 불리고 합성 엽산은 folic acid라고 불리는데 이 중 활성엽산은 3세대와 4세대로 나눌 수 있습니다.
3세대는 matafolin이라고 하며 유명한 제품인 솔가에서 판매되고 있는 것 중 하나이고 quatrefolic은 4세대 엽산입니다.
하지만 folate라고 불리는 천연엽산은 말 그대로 천연 엽산이 아닙니다. 천연엽산의 구조를 따라서 만든 자연 엽산 형태의 모습을 따라 한 것을 folate라고 부르는 것 입니다.
따라서 실제로 소비자가 원하는 천연엽산을 먹으려면 녹황색 채소를 생으로 많이 먹는 것이 좋습니다.
그럼 합성 형태의 활성엽산은 왜 만들어진 것일까요? 그것은 천연엽산보다 흡수율이 좋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천연엽산(folate)을 선택하였다면 합성엽산(folic acid)보다 약 1.6배 정도 많이 먹어야 합니다.
4세대 엽산은 수용성이 더 크며 생체이용율이 3세대 보다 좋습니다.
평균적으로 임산부의 10%정도는 엽산의 흡수를 방해하는 돌연변이 유전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요즘 산부인과에서는 엽산 흡수 변이 유전자 관련 검사를 진행하기도 한답니다.
3세대와 4세대 엽산
3세대 엽산 추천
3세대 엽산은 임산부 사이에서도 많이 유명한 제품인 솔가의 제품이 유명합니다. MTHF이라고 하는 성분이 3세대 활성엽산인데요. Methyltetrahydrofolate라고 적혀있거나 L-methylfolate as Metafolin이라고 표기되기도 합니다.
4세대 엽산 추천
3세대의 염기가 칼슘으로 구성되어있다면 4세대는 글구코사민이라고 보면됩니다. 주로 아래 제품과 같이 성분이 Qautrefolic이라고 되어있습니다.
효과와 결핍
엽산의 효과
엽산은 기형아 출산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무뇌아, 심장 기형, 척추 이분증과 같은 신경관 결손증 예방에 좋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는 엽산의 기형 예방 효과를 강조하고 있고 캐나다에서도 태아의 기형을 예방하기 위하여 임신 전부터 엽산제 복용을 권장합니다.
미국에서는 1998년 이후 자주 먹는 음식인 시리얼 등에 엽산을 함유시켜 관련 질병을 약 30% 정도 줄였다고 합니다.
엽산의 결핍
엽산이 결핍되었을 경우 임산부의 기형아 출산 확률이 올라가는 것은 물론이며 핵산 합성에 문제가 생겨 결국은 적혈구 생성이 어려워 빈혈까지 발생하게 됩니다.
올바른 복용법
임산부의 복용량
엽산은 일반적인 산모와 고위험군 산모에 따라 추천 복용량이 다릅니다.
- 신경관 결손증 아기(무뇌아 등)를 낳았던 이력이 있는 산모 : 4,000ug / 4mg
- 체질량이 30(kg/㎡)이 넘는 예비 임산부 및 임산부 : 1,000ug / 1mg
- 일반 임산부 또는 예비 임산부 : 400~620ug / 0.4~0.62mg
만약 일반적인 야채로 섭취를 하려고 한다면 채소 350g 이상을 섭취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엽산은 물에 녹는 수용성이며 강한 불에서 삶거나 조리하면 손실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효과적으로 먹기 위해서는 삶기보다는 찌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음식으로 섭취하고자 하시는 분들은 가볍게 데친 시금치무침 또는 브로콜리 샐러드 등으로 엽산을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용 시기
엽산은 최소 임신 1개월 전부터(권장 2~3개월 전) 임신 13주까지 복용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기형을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13주가 지났다면 아연, 철 등이 함유되어 있는 임산부용 종합비타민을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용 종합 비타민은 임신 중 뿐만아니라 수유 때까지 계속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편과 엽산
엽산은 비단 임산부에게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엽산은 남자의 정자의 수와 질을 향상시키는 데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요즘에는 계획 임신을 하는 경우 부부가 함께 먹는 추세입니다. 또한 동물 실험에서 수컷의 엽산이 결핍되었을 경우 선천성 결손증 출산률이 증가하여 나타났으므로 남성의 엽산 결핍 또한 문제가 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합니다.
※ 참고하는 글 : 2016년 학술자료 임신 전 남성 관리에 관한 논문
마치며
위에서 언급한 대로 엽산은 신경관 결손증을 예방하여 기형아를 출산하는 것을 예방해 줍니다. 하지만 20% 정도의 임산부는 아무리 엽산이 함유된 음식을 많이 먹더라도 선천적인 유전자 변형 때문에 엽산 부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엽산을 필히 복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 |
임산부 영양제 시기별 추천 정보(엽산, 철분, 비타민D 외) |
임산부 혜택 총정리! 임신확인 후 해야할 일 |
국민행복카드 신청 및 임산부 바우처 등록하기, 둘째는? |